“유심 무료 교환”, “유심보호서비스” 등 사회적 이슈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주의
□ 개요 o 최근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피싱 사례가 발견되어 개인정보 유출과 악성앱 감염 등 2차 피해로 연계되지 않도록 사용자 주의 권고 □ 주요내용 o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검색 결과 노출되는 사이트가 도박사이트로 연결되는 사례 확인 - 검색엔진에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키워드를 입력하면 언론보도 일부를 발췌·삽입한 검색 결과가 노출 - 검색결과 클릭 시 비영리 도메인을 경유하여 도박사이트로 연결되는 사례가 발견됨 □ 대응방안 o 피싱·스미싱 예방 방법 - 공식 채널 외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 금지 - 검색 결과 노출 사이트 주소를 반드시 확인하고 의심 사이트 접속 금지 - APK·앱 다운로드 유도 시 보호나라(카카오톡 채널) 내 “스미싱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 판별 - 휴대폰번호, 계정정보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번 더 확인 o 피싱·스미싱 메시지 수신 시 대응 방법 - 피싱메시지 수신 시 한국인터넷진흥원 118로 즉시 신고 - 악성앱(악성코드) 설치 등 의심되는 경우 모바일 백신으로 점검 및 악성앱 삭제 □ 기타 문의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 작성 o 위협대응단 탐지대응팀
2025-04-30 자세히보기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사칭 가상자산 피해환급 피싱 주의 권고
2025-04-15 자세히보기
2025년 3월 대량문자사업자별 스팸신고 현황
2025-04-14 자세히보기
카드 배송 사칭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 권고
2025-04-01 자세히보기
“유심 무료 교환”, “유심보호서비스” 등 사회적 이슈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주의
□ 개요 o 최근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피싱 사례가 발견되어 개인정보 유출과 악성앱 감염 등 2차 피해로 연계되지 않도록 사용자 주의 권고 □ 주요내용 o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검색 결과 노출되는 사이트가 도박사이트로 연결되는 사례 확인 - 검색엔진에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키워드를 입력하면 언론보도 일부를 발췌·삽입한 검색 결과가 노출 - 검색결과 클릭 시 비영리 도메인을 경유하여 도박사이트로 연결되는 사례가 발견됨 □ 대응방안 o 피싱·스미싱 예방 방법 - 공식 채널 외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 금지 - 검색 결과 노출 사이트 주소를 반드시 확인하고 의심 사이트 접속 금지 - APK·앱 다운로드 유도 시 보호나라(카카오톡 채널) 내 “스미싱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 판별 - 휴대폰번호, 계정정보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번 더 확인 o 피싱·스미싱 메시지 수신 시 대응 방법 - 피싱메시지 수신 시 한국인터넷진흥원 118로 즉시 신고 - 악성앱(악성코드) 설치 등 의심되는 경우 모바일 백신으로 점검 및 악성앱 삭제 □ 기타 문의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 작성 o 위협대응단 탐지대응팀
2025-04-30 자세히보기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사칭 가상자산 피해환급 피싱 주의 권고
2025-04-15 자세히보기
카드 배송 사칭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 권고
2025-04-01 자세히보기
AI 기반 악성 메시지 차단 기능을 만나보세요!
2025-04-01 자세히보기
2024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 및 수신량 조사 결과 발표
작년 상반기 급증했던 스팸신고가 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며 약 전반기 대비 3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발송 단계에서의 사전 차단과 사업자 관리 강화,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등의 효과라는 분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은 27일 ‘2024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했다. 불법 대출이나 성인물, 도박 등 악성 메시지로 인한 국민 피해를 예방하고이에 맞는 대책 마련 수립 등을 위해 방통위는 매년 상?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스팸 유통현황’은 문자, 음성, 전자메일을 통한 ‘1인 월평균 스팸 수신량’과 이용자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했거나 자체 탐지 시스템을 통해 차단된 ‘스팸 신고?탐지 결과’ 등 두 분야로 조사된다. 2024년 하반기 스팸 수신량 조사는 작년 11월 5~11일 전국 휴대전화?전자메일 이용자 12~69세 국민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작년 상반기 급증했던 불법스팸이 하반기 전 분야에 걸쳐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 내 전 분야 감소는 처음이다. 특히 작년 한 해 스팸 수신량과 신고?탐지건수가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 각각 29.0%, 29.7% 가까이 줄어 정부 대책 등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 불법스팸 근절을 위한 강력한 조치 등을 담은 ‘범정부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에는 불법스팸을 방치하는 이동통신사, 문자중계사?재판매사 등에 대한 과징금 부과,부적격사업자에 대한 대량문자 시장 진입 제한 및 문제 사업자 퇴출 등의 조치를 담았다. 불법스팸 발송에서 수신까지 이중 차단체계를 마련하고, 해외발 불법스팸 차단 체계도 강화하는 등 종합대책 시행을 통해 이용자의 스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했다. 특히 하반기 불법스팸 감소는 대량문자 발송 사업자에 대한 긴급 점검, 삼성전자 등과의 협업을 통한 스마트폰 내에서의 스팸문자 자체 차단, 문제 사업자(블랙리스트)에 대한 발송단계에서의 사전 발송 금지 등을 시행한 효과로 분석된다. 작년 하반기 조사대상 이용자의 불법스팸 총 수신량은 11.60통으로 전반기 16.34통에 비해 4.74통 줄었고, 스팸 신고?탐지 건수도 1억 5,952만 건으로전반기 2억 2,680만 건에 비해 약 29.7%인 6,728만 건 감소했다. 1인당 휴대전화 문자스팸 수신량은 7.32통으로 전반기 11.59통 대비 4.27통감소했으나, 투자유도 등의 금융 및 도박 유형 스팸은 여전히 62.6%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용자 주의가 당부된다. 1인당 음성스팸 수신량은 1.53통으로 전반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전자메일을 통한 수신량은 2.75통으로 전반기 대비 0.47통 감소했다. 이용자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했거나 자체 탐지 시스템을 통해 차단된스팸 신고?탐지 건수는 1억 5,952만 건으로 전반기 2억 2,680만 건 대비 약 29.7% 감소했다. 이 중 휴대전화 문자스팸 신고?탐지건수는 총 1억 5,020만 건으로 전반기 2억 1,150만 건 대비 29%인 6,130만 건 감소했다. 문자스팸 발송경로별 비중을 보면 국내 문자스팸이 약 53.9%로 전반기 76.4% 대비 22.5%p 감소한 반면, 국외 문자스팸 비율은 46.1%로 전반기23.6% 대비 22.5%p 증가한 것으로조사됐다. 음성스팸 신고·탐지 건수는 총 504만 건으로, 전반기 대비 16.1%인 97만 건감소한 가운데, 통신가입 광고와 불법대출 유형 스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앞으로도 불법스팸 감축을 위한 종합대책의 각 세부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3-28 자세히보기24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 발표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김태규, 이하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상중 원장, 이하 ‘KISA’)은 12월 5일(목)「2024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하였다. 이 자료는 2024년 상반기에 실시된 이용자 불법스팸 수신량 조사(5월23일∼5월29일)와 휴대전화 및 이메일로 수신된 스팸 신고·탐지 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담고 있다. 전국의 휴대전화·이메일 사용자 3,000명(12∼69세)을 대상으로 1인당 불법스팸 수신량을 조사한 결과, 월 평균 수신량은 16.34통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2.85통이 증가하여,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휴대전화 문자스팸의 1인당 수신량은 11.59통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2.68통 증가하였고, 금융(주식·재테크 등) 및 도박 유형의 스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주식투자유도 유형의 불법스팸이 전반기 대비 25.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휴대전화 1인당 스팸 수신량을 이동통신사별로 구분하였을 때, 문자스팸은 모든 사업자에서 전반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성스팸의 평균 수신량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메일 1인당 스팸 수신량은 3.22통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0.11통 증가하였고, 주요 광고유형은 의약품, 성인, 도박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가 KISA에 신고하였거나, KISA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스팸트랩시스템을 통해 탐지한 휴대전화 문자스팸 신고·탐지건은 총 2억 1,150만 건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14.3%(2,641만 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탐지된 문자스팸의 발송경로는 국내의 경우 대량문자 발송서비스가 74.9%로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에서발송된 문자스팸의 비율은 ’23년 하반기 대비 6.9%증가하여 23.6%를 차지하는 등 점차적으로 국외 발송 문자스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스팸 신고·탐지 건은 총 601만 건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22.7% (111만 건) 증가하였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광고유형은 통신가입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감소(30.5%↓)하였으나, 도박(로또 등) 유형은 증가(24.4%↑)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2024년 상반기에는 대량문자 발송서비스를 통한 문자스팸이 급증한 가운데, 국외에서 발송된 불법스팸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면서 “국민의 피해를 야기하는 불법스팸 감축을 위해 지난 11월말 발표한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4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 주요 통계 별첨 ’24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 1부
2024-12-09 자세히보기2024년 하반기 불법스팸 전송방지를 위한 설명회 자료
2024년 하반기 불법스팸 전송방지를 위한 설명회 자료입니다.
2024-11-28 자세히보기2024년 상반기 불법스팸 전송 방지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설명회 발표자료
2024년 상반기 불법스팸 전송 방지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설명회 발표자료
2024-06-12 자세히보기2025년 3월 대량문자사업자별 스팸신고 현황
2025-04-14 자세히보기
2025년 2월 대량문자사업자별 스팸신고 현황
2025-03-12 자세히보기
2025년 1월 대량문자사업자별 스팸신고 현황
2025-02-27 자세히보기
내 번호가 불법스팸 발송에 악용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최근 스미싱 및 취업알선, 손쉬운 알바 등을 사칭하여 인증번호 탈취 후 스팸전송번호로 악용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번호 악용을 막기 위해 절대로 본인인증 번호를 타인에게 제공해서는 안되며, 출처가 불분명한 URL 은 절대로 클릭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통신사에서는 타인이 임의로 내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불법스팸 문자를 발송할 수 없도록 '번호도용차단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미리 가입하여 내 휴대폰 번호가 불법스팸 발송 번호로 악용되는 사례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2024-03-25 자세히보기아이폰 불법스팸 간편신고 앱에서는 신고 내용 캡쳐 파일을 꼭 첨부해야하나요?
아이폰은 애플사의 보안기능 및 정책 특성 상 문자/전화 내역 연동 기능이 제한되어 있어, 불법스팸 신고 처리 시 필요한 정보(발신번호, 수신일시, 신고내용 등)를 확인할 수 있도록 캡쳐 파일 첨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03-25 자세히보기스팸 문자 수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휴대전화로 수신되는 불법스팸 수신 최소화를 위해 이통3사에서 무료로 제공 중인 스팸차단필터링 서비스(SKT : T필터링서비스 KT : KT 스팸차단 LGU+ : U+ 스팸차단) 의 차단 강도 조정 및 차단 키워드 설정을 통해 불법스팸 수신 차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와 같이 수신거부 조치를 수행하여 원치 않는 광고성 정보 수신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① 최초 회원 가입 시 광고성 정보 전송 수신 동의를 거부하기 ② 광고 문자 수신 시 무료 수신 거부 080번호 활용하여 수신 거부 하기 ③ 2년마다 발송되는 광고성 정보 수신동의 여부 확인 시 수신 거부 조치하기 ④ 해당 광고 서비스 홈페이지 설정에서 수신동의 여부 설정 변경하기
2024-03-25 자세히보기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란 무엇인가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란 전송자가 널리 경제적 이득을 취할 목적으로 전송하는 ① 전송자 등에 관한 정보, ② 전송자 등이 제공할 재화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영리성이 없는 사인간 문자, 선거 문자, 여론 조사 등은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가 아닙니다. 영리를 목적(부수적으로 영리목적이 있더라도 포함)으로 하는 자(법인도 포함)가 고객에게 보내는 정보는 원칙적으로 모두 광고성 정보에 해당하며 정보통신망법을 준수하여 광고를 전송하여야 합니다. (단, 광고성 정보 예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준수할 필요 없음)
2021-07-08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