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센터소개
센터소개
오시는길
불법스팸
스팸 신고방법
간편신고
불법스팸 간편신고 앱
스팸 신고
스팸신고 처리결과
스팸신고 처리절차 안내
불법스팸 대응방법
이용자 스팸방지 수칙
휴대전화 단말기 스팸차단 기능 안내
서비스 신청·문의
SPF(메일서버등록제)
SPF(메일서버등록제) 소개
SPF 이용
SPF Record 작성 도우미
고객광장
공지사항
자료실
스팸신고 현황
FAQ
문의하기
홈
검색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
검색닫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홈
고객광장
공지사항
공지사항
공유
새창열림 페이스북
새창열림 트위터
새창열림 블로그
새창열림 카카오스토리
인쇄
SKT 해킹 이슈를 악용한 피싱 주의 권고
작성자
총관리자
등록일
2025.05.09
스미싱 및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및 대응 종합 안내
1. SKT 해킹 이슈를 악용한 피싱 주의 권고
최근 발생한 SKT 해킹사건을 악용해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고 보이스피싱을 시도하는 사례가 발견됨
정부기관 및 SKT를 사칭해 유심 해킹을 명목으로 개인정보, 금전 등을 요구
정부기관 및 SKT에서는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음
피해자에게 직접 전화하도록 유도하거나, 정상 앱처럼 가장한 원격제어앱을 설치하도록 유도
보안점검, 악성앱 검사, 사고접수 등을 이유로 피해자가 앱을 직접 설치하게 함
설치된 앱을 통해 원격 조작,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 유출
피싱 시나리오 예
“정보 유출로 보안앱 설치가 필요하다”며 SKT 및 정부기관 사칭
정상 앱인 것처럼 유도하여 설치 → 원격 조작 → 탈취
통화 가로채기 악성앱(SKT 쉴더스 등) 설치 사례 존재
2.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문자 신고 및 예방
신고 및 확인 방법
counterscam112.go.kr
의 '통합신고' 기능 사용
문자 수신 화면의
'스팸으로 신고'
버튼 사용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의
'스미싱 확인서비스'
이용
예방 방법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
의심되는 사이트 주소는 반드시 공식 사이트와 비교 확인
개인정보는 반드시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
정부기관 및 금융사는 절대 원격제어앱 설치 요구하지 않음
번호 도용 문자 차단
피싱 앱으로 인해 본인의 번호가 악용될 수 있음
번호도용문자 차단서비스
를 이동통신사에서 무료로 신청 가능
모바일 결제 피해 확인 및 취소
스미싱 악성앱 감염 또는 피싱 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 입력 시 모바일 결제 피해 발생 가능
조치 절차:
1.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모바일 결제 내역 확인
2. 피해가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 화면 캡처
3.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 발급
4. 소액결제확인서를 지참해 경찰서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 방문
5.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 발급
6. 통신사에 확인서 등 서류 제출 (방문, 팩스, 이메일 등)
7. 통신사나 결제대행업체에 보상 요청
악성 앱 삭제 방법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한 것만으로는 감염되지 않지만, 해당 주소를 통해 악성 앱을 설치했다면 아래 방법으로 점검 필요
1.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 삭제
2. 악성 앱 수동 삭제
3. 서비스센터 방문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
악성 앱에 감염된 스마트폰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의 금융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폐기하고 재발급
2차 피해 예방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앱이 주소록을 조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으므로, 주변 지인에게 피해 사실을 알릴 것
기타 문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작성: 국민피해대응단 스미싱대응팀
첨부파일
20250508_SKT_해킹_이슈를_악용한_피싱_주의_권고_v1.1.pdf
(다운로드 : 156회)
이전글
스팸신고량 상위 50위 문자 재판매사 대상 스팸신고 데이터 제공 안내
다음글
“유심 무료 교환”, “유심보호서비스” 등 사회적 이슈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주의
목록